B-EXPERT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B-EXPERT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
    • 공무원 복무 및 급여 (5)

검색 레이어

B-EXPERT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정액분 지급이유, 계산방법, 근무일수

    2024.01.19 by B-EXPERT

  • (연말정산) 자녀 교육비 간소화 자료에 반영하는 방법

    2024.01.15 by B-EXPERT

  • 공무원 가족수당(+주의할 점)

    2024.01.13 by B-EXPERT

  • 정근수당, 정근수당 가산금, 정근수당 추가가산금(2024년 반영)

    2024.01.11 by B-EXPERT

  • 공무원 육아휴직 수당(2024년 변경 내용 반영)

    2024.01.09 by B-EXPERT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정액분 지급이유, 계산방법, 근무일수

1. 지급이유 시간외근무수당이라고 하면 당연히 초과근무에 대한 수당을 생각하겠지만 그것과 다르게 시간외근무수당 정액분이라고 하는 공무원 수당이 있다.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아 시간외근무수당 정액분은 무엇인가 하는 궁금증이 생기게 된다. 정액분을 주는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주변에서 듣기로는 실제로 근무를 하다 보면 출근 시간보다 일찍 출근하여 일하기도 하고 퇴근 또한 실제 근무시간보다 늦게까지 일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매번 그 시간들을 일일이 계산하기 힘드니 시간외근무수당 정액분을 준다고 하였다. 시간외근무수당 정액분을 주는 대신에 공무원들은 초과근무 시 1시간을 공제하고 지급하도록 한다. 시간외근무수당 정액분에 1시간이 포함되었다는 것이다. 2. 계산방법 시간외근무수당 정액분을 계산할 때..

공무원 복무 및 급여 2024. 1. 19. 22:44

(연말정산) 자녀 교육비 간소화 자료에 반영하는 방법

1. 연말정산 교육비 연말정산의 시기가 왔다. 올해 1월 15일부터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를 뽑을 수 있게 되었다. 연말정산에 관한 내용들은 다른 블로그에 잘 나와 있기 때문에 그중 일부인 교육비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한다.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를 다운로드 했을 때 자녀의 교육비가 반영되지 않아 학교 행정실로 전화 오는 경우가 있다. 현재의 초등학교, 중학교는 무상교육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자녀의 교육비는 큰 금액은 아니다. 그러나 방과후학교 수업을 듣거나 돌봄교실에 다니고 있다면 교육비를 신경써서 챙겨야 할 것이다. 2. 교육비 등록 절차 홈택스에 연말정산 자료가 어떻게 등록되는지를 알면 이해가 더 쉽기 때문에 참고사항으로 아래의 내용을 보길 바란다. 우선 각급 학교에서 사용하는 전산프로그램을..

공무원 복무 및 급여 2024. 1. 15. 19:24

공무원 가족수당(+주의할 점)

1. 가족수당 공무원의 작고 소중한 월급을 조금 올려주는 쪼꼬미(?) 수당 중 하나이다. 금액이 그리 크지는 않지만 확인해야 할 것이 꾀 있는 수당이니 신중히 지급해야한다. 가족수당의 대상은 부양가족이 있는 공무원이다. 여기서 부양가족이란 부양의무를 가진 공무원과 주민등록상 세대를 같이하는 사람으로서 해당 공무원의 주소나 거소에서 현실적으로 생계를 같이 하는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이다.(최대 부양가족은 5명까지 신청 가능, 그러나 자식은 그 이상 신청 가능) 그러나 취학, 요양 또는 주거의 형편에 따라 해당 공무원과 별거하고 있는 가족(1에 해당하는 사람, 2에 해당하는 사람 중 공무원의 배우자와 세대를 같이하는 사람, 3에 해당하는 사람 중 공무원 본인과 배우자의 자녀)은 부양가족에 포함된다..

공무원 복무 및 급여 2024. 1. 13. 16:08

정근수당, 정근수당 가산금, 정근수당 추가가산금(2024년 반영)

1. 정근수당 공직에 있다 보면 "공무원은 10년 복무하면 먹고 살만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그 이유는 공무원의 수당 중 경력이 오래 될 수록 많은 수당을 받게 되는 정근수당과 정근수당 (추가)가산금이 가장 큰 이유이다. 정근수당은 매년 1월과 7월의 지급일에 아래 표의 비율에 따라 지급되는 수당이다.(1월 1일과 7월 1일에 월봉급액을 기준) 1월, 7월의 기본급에 5%, 10%, 15% 순으로 근무연수에 따라 증가하는 정근수당은 10년 차가 되는 순간부터 50%의 수당을 받게 되기 때문에 공무원 급여 상승에 큰 역할을 한다. 1월에 받게 되는 수당은 1월 1일 현재 공무원의 신분을 유지하고 급여를 받는 대상으로서 지난년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월 이상 급여를 지급받은 공무원에게 지..

공무원 복무 및 급여 2024. 1. 11. 07:30

공무원 육아휴직 수당(2024년 변경 내용 반영)

1. 육아휴직 정의 가. 자녀의 양육을 위해 일정 기간동안 휴직할 수 있는 제도 2. 육아휴직수당 가. 2023년 규정(2022.1.1.~) “만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하여 필요하거나 여성공무원이 임신 또는 출산하게 된 때 (「국가공무원법」 제71조제2항제4호)의 사유로 30일 이상 휴직한 공무원의 육아휴직 수당은 육아휴직 시작일을 기준으 로 한 월봉급액의 80퍼센트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한다. 단, 해당금액이 150만원을 넘는 경우에는 150만원으로 하고 해당 금액이 70만원보다 적은 경우에는 70만원으로 한다. 나. 복직합산금 위에서 산정한 육아휴직 수당의 85퍼센트에 해당하는 금액은 매월 지급하고 그 나머지 금액은 육아휴직 종료 후 복직하여 6개월 이상 계속해서 근무..

공무원 복무 및 급여 2024. 1. 9. 23:3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B-EXPERT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